티스토리 뷰

목차



    3월 18일 미국 증시 마감:

    FOMC 앞두고 기술주 하락, 테슬라 5% 급락

     

     

     

    1. 미국 증시 하락, FOMC 발표 대기

     

    3월 1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하루 앞두고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1.71% 급락하며 시장의 불안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260.32포인트(-0.62%)
    • S&P 500 지수: -60.46포인트(-1.07%)
    • 나스닥 종합지수: -304.54포인트(-1.71%)

     

    S&P 500 지수 내 11개 부문이 모두 하락했으며, 특히 기술 분야 기업들의 낙폭이 컸습니다.

     

    투자자들은 FOMC 회의에서 연준이 향후 금리 정책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것을 기대하며 관망세를 유지했습니다.

     

    2. 기술주 급락, 테슬라 5.3% 하락

     

    미국 기술주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테슬라(TSLA): -5.34% ($225.31)
      • 중국 전기차 업체 BYD의 초고속 충전 시스템 공개로 경쟁 심화 우려
      • RBC 캐피털 마켓이 목표주가를 440달러에서 320달러로 하향 조정
      •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일론 머스크 CEO의 정치 활동에 대한 반발도 악재로 작용

     

    • 엔비디아(NVDA): -3.43% ($881.42)
      • GTC 2025에서 신형 AI 칩 ‘베라 루빈’ 발표, 시장 반응 냉담 
      • AI 반도체 경쟁 심화 우려 반영
    • 팔란티어(PLTR): -3.96%
    • 브로드컴(AVGO): -2.99%
    • 알파벳(GOOGL): -2.34%
      • 사이버 보안 업체 ‘위즈’ 320억 달러 인수 발표 후 하락

    기술주 매도세는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지만, 향후 점도표에서 금리 인하 횟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부각된 영향이 큽니다.

     

    3. 트럼프 관세 정책, 경제 불확실성 확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 불안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 2월 미국 수입물가지수 0.4% 상승, 예상치(0.1%) 상회
    • 중국 AI 업체 딥시크의 급부상과 BYD의 공격적인 시장 확장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가자 공습 재개로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특히 4월 2일 캐나다·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면제 기한 종료를 앞두고 시장은 관망세를 유지했습니다.

     

    4. 연준 금리 동결 확실… 점도표 변화 주목

     

    FOMC 회의에서 99% 확률로 금리 동결이 예상되지만,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전망이 유지될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2024년 기존 금리 인하 전망: 2회
    • 연준이 매파적 기조를 강화할 경우 1회로 줄어들 가능성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 3회로 확대될 수도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전망이 어떻게 조정될지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5. 안전자산 강세, 금값 사상 최고가 경신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이동했습니다.

     

    • 금 현물 가격: $3038.26 (사상 최고가 경신)
    • 국채 금리 하락
      • 10년물 국채 금리: -1.8bp (4.28%)
      • 2년물 국채 금리: -0.5bp (4.05%)
    • 비트코인: -2.8% ($82,161)

     

    6. 미국주식 단기매매

     

    투자중인 SOXL이 미리 정한 손절 기간이 지나 손절 중입니다. 고점대비 50%정도 하락해서 이번주 약 만불정도의 손절을 계획중입니다. 

     

     

     

    결론: 단기 변동성 확대 전망

     

    FOMC 발표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시장의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가 이어질 경우 나스닥 지수의 추가 조정 가능성이 있으며, 투자자들은 점도표 발표 후 연준의 스탠스를 확인한 뒤 시장 대응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